티스토리 뷰
목차
파킨슨병은 신경계 퇴행성 질환으로, 신체 운동 기능이 떨어지고, 비운동성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병입니다.
파킨슨병 진단은 단순히 혈액검사나 영상으로 바로 확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상적인 증상과 의사의 관찰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보조적인 검사도 병행해야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파킨슨병은 초기 증상이 일반적인 노화 증상과 비슷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 진단’을 제대로 받지 않으면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고, 증상 악화로 삶의 질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킨슨병 진단 방법, 파킨슨병 진단 가능한 병원에 대해 정리했으니,
본인이나 가족의 행동을 관찰했을 때 파킨슨병이 의심된다면 꼭 참고하셔서 진단 받아보세요.
파킨슨병 진단시기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신경과에서 파킨슨병 진단을 받아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걷는 증상이 느려지거나 손떨림이 있을 때 단순 노화로 인한 증상이라고 지나치지 말고, 증상을 면밀히 관찰해보고 지속된다면 병원에 방문하여 신경과 전문의의 임상적 평가 보조검사를 활용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 걷는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졌을 때
🔸 손이나 다리 떨림 증상이 시작될 때
🔸 옷을 입거나 단추를 채우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때
🔸 말투가 느려지고 무표정이 잦아질 때
파킨슨병 진단 방법
파킨슨병 진단은 단순한 혈액검사나 영상으로 확정할 수 있는 질환이 아닙니다.
신경과 전문의의 임상적 평가와 보조 검사의 조합으로 진단하게 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임상 진단: 운동 증상 중심 평가
다음 3가지 주요 증상 중 2가지 이상이 있을 경우 파킨슨병 진단을 고려합니다.
- 운동완만증 (브래디키네시아): 움직임이 느려지고 둔해짐
- 떨림 (진전): 가만히 있을 때 손이나 발이 떨리는 증상
- 근육 경직 (리지디티): 관절을 움직일 때 저항이 느껴짐
※ 자세가 불안정하거나 보행 시 불편함이 있다면 진단시 참고합니다.
2️⃣ 반응 평가: 도파민 치료 반응 여부 확인
L-도파(레보도파) 성분 약물에 증상이 호전되면 파킨슨병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진단의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
3️⃣ 보조 검사
- 도파민 운반체 스캔 (DAT-SPECT): 도파민 신경세포 감소 확인
- MRI, CT: 뇌종양·뇌경색 등 다른 질환 배제
- 혈액검사: 갑상선 기능 저하증, 대사질환 감별
파킨슨병 진단 가능한 병원 (전국 주요 병원)
파킨슨병 진단 병원 및 공식 홈페이지
지역 | 병원명 | 진료과 | 홈페이지 주소 |
서울 |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 신경과 | https://www.snuh.org |
서울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신경과 | https://www.samsunghospital.com |
서울 | 세브란스병원 뇌신경센터 | 신경과 | https://www.severance.healthcare |
경기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 신경과 | https://www.snubh.org |
경기 |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신경과 | 신경과 | https://ansan.kumc.or.kr |
부산 | 부산대학교병원 신경과 | 신경과 | https://www.pnuh.or.kr |
광주 | 전남대학교병원 파킨슨병센터 | 신경과 | https://www.cnuh.com |
대구 | 경북대학교병원 신경과 | 신경과 | https://www.knuh.kr |
이 병원들은 파킨슨병 진단과 치료 경험이 풍부한 신경과 전문의가 상주하고 있으며, 일부 병원에서는 도파민 스캔(DAT-SPECT) 등 특수 검사 장비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서울 지역
- 서울대병원 신경과
파킨슨병 클리닉 운영, DAT 스캔 보유
홈페이지: https://www.snuh.org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파킨슨병 연구와 임상경험 풍부
홈페이지: https://www.samsunghospital.com - 세브란스병원 뇌신경센터
진단에서 약물치료, 수술까지 통합진료 제공
🔹 경기/수도권
- 분당서울대병원
파킨슨병 진단 정확도로 유명
예약 필수 -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중증 신경질환 클리닉 운영
🔹 지방권 추천 병원
- 부산대병원 신경과
- 전남대병원 파킨슨병 센터
- 경북대병원 신경과
모두 ‘파킨슨병 진단’ 및 치료 경험이 풍부한 병원입니다.
파킨슨병 진단을 위한 TIP
✔️ 신경과 전문의 진료 필수
✔️ 초기 증상일수록 진단 정확도가 높음
✔️ 가능하다면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 내 신경과 방문
✔️ 진료 전에 증상 발생 시점, 악화 정도, 가족력 등을 정리해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증상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파킨슨병 진단은 치료의 시작입니다.
조기 진단을 통해 약물 치료나 운동요법을 빠르게 시작하면, 진행 속도를 늦추고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으니
파킨슨병 초기증상을 미리 알아두고, 증상 발견 시 미루지 말고 꼭 전문 병원에 가서 진단받고 치료방향을 정해야 합니다.